ㅠㅠ(yuyu)

  • 56 Pages
  • 210 X 270mm
  • Sewn Biding
  • 100 Copies
  • Cover Designed by Typehunter
  • Published by Boredroom in 2021
  • ISBN 979-11-967899-1-6

Online Exhibition

Tears are sad but ᅲᅲ(yuyu) doesn’t seem that sad. The emoticon shows a sad-but-funny emotion when sadness is turned into a simple combination of Hangul characters. A pillow with traces of tears also displays such emotion. We may have gone through a tragic experience when we had to bury our faces in a pillow and cry, but the traces left on the pillow may not seem so tragic. It may even seem cute and make us laugh. The tears here no longer indicate biting sadness, but just a trace of a sad incident. The text of sadness suddenly becomes something rather funny. The ᅲᅲ captures the changing moment of sadness. We at last set ourselves free from sad emotions when we see these stains left on our pillows. Crying becomes a laughable action and grave sorrow gets interrupted. Seeing the cute little tearstains and imagining ourselves crying make us feel sorry of ourselves than sad. Children drawing pictures on the 壬壬 don’t take sadness seriously even more. The stains once again lose the weight of sorrow as they are rearranged by the little artists. The metaphor of the pillow gets waned and disregarded. When the ᅲᅲ intended to capture the moment of tears fading away, the young creators volatilize the stains. For them, tears are nothing more than tears. They place their drawings on a new level, keeping distance with compassion and humor. These drawings interfering the dichotomized way of appreciating the artworks – laughter and tears – increase the gaps between the pillow and tears, and the pillow and laughter, like the law of perspective. Like the ᅲᅲ which decontextualizes sadness, and like the children who focuses on their artwork than the tearstains, there is no set way of appreciating the exhibition. If you wish to experience the misinterpretation of sadness, I highly recommend you to visit and view these desultory but sincere products of tears.
(Independent Curator Yeowool Yoon, Translated by Jisoo Han)

눈물은 슬프지만 ᅲᅲ는 그다지 슬퍼 보이지 않는다. 이모티콘이 된 울음은 감정을 저화질로 출력하며 슬픔보다는 ‘웃픈 (슬프면서도 웃긴)’ 얼굴이 된다. ‘눈물 자국이 찍힌 베개’도 그렇다. 베개에 얼굴을 파묻고 울었을 한 사람의 사연은 비극일 테지만 울고 난 후 베개에 남은 눈물 자국은 때때로 심각치 않다. 귀엽고 웃음이 나온다. 이때의 눈물은 가슴 후비는 슬픔이 아닌 해프닝. 슬픔의 문체는 순간 우스꽝스럽게 바뀐다. ᅲᅲ는 이 슬픔이 변형되는 찰나의 순간을 박제한다. 그제야 우리는 눈물 자국을 마주하며 눈물이 가졌던 슬픔의 서사에서 해방된다. ‘우는 것’은 희화화 되고 심각한 슬픔 또한 방해 받는다. 앙증 맞은 눈물 자국, 울고 있는 나의 모습. 슬픔보다 궁상이 밀려온다.ᅲᅲ 위에 아이들의 그림 그리기는 더욱 슬픔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눈물 자국은 재배열되며 한 번 더 슬픔의 무게를 잃는다. 은유로 가득 찼던 베개, 희석되고 파묻힌다. ᅲᅲ가 사라지는 눈물의 찰나를 박제하려 했다면, 아이들은 또 다시 눈물 자국을 휘발시킨 셈이다. 이들에게는 눈물은 그저 눈물일 뿐. 연민과 익살과는 거리를 두며 자신의 그림을 새로운 층위에 존재시킨다. 웃음과 울음으로 이분화된 감상법에 훼방을 놓는 이 그림들은 배개와 눈물 그리고 베개와 웃음 사이를 벌리며 원근법처럼 거리를 두고 있다. 슬픔의 사정을 탈맥락하는 ᅲᅲ 처럼, 그저 자신의 그림을 주제로 삼는 아이들처럼, 우리도 정해진 관람법은 없다. 슬픔을 오독하고 난독하는 경험을 하고자 한 다면, 눈물을 둘러싼 이 산만하고 진지한 결과물을 기꺼이 관람하시길 추천.
(독립 큐레이터 윤여울)